기능장해 측정 방법
근로복지공단에서
"어깨 기능장해의 기준"을 정하기 위해
정상적인 어깨 운동범위를 재설정하였습니다.

(1) 전상방거상(굴곡)

- 검사대 위에 누워 전완을 회내시킨 상태를 유지한다.
- 각도기의 중심을 어께관절의 중심에 맞추고 두팔을 들어 올려 측정한다.
(2) 후방 거상(신전)

- 검사대 위에 엎드려 전완을 회외시킨 상태를 유지한다.
- 각도기의 중심을 어깨관절의 중심에 맞추고 두팔을 들어 올려 측정한다.
(3) 측방거상(외전) 및 내전

- 검사대 위에 누워 전완을 중립으로 한다.
- 각도기의 중심을 어깨관절 위에 놓는다.
- 측방거상(외전)의 경우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측정한다.
- 내전의 경우 팔을 측방거상의 반대방향으로 몸 중심부로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측정한다.
(4) 내회전 및 외회전

- 검사대위에 누워 팔을 90도 외전하고 팔꿈치 관절을 90도 유지하는 상태를 중립으로 한다.
- 내회전의 경우 전완의 손바닥 면이 검사대 위에 닿게 하려는 동작으로 측정한다.
- 외회전의 경우 전완의 손등 면이 검사대 위에 닿게 하려는 동작으로 측정한다.
출처 :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신영철 2013. 산재 보험 외료기관 주치의를 위한 장해진단 매뉴얼
'개인 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콜(장애인 콜택시) 바우처 택시, 이동지원센터 회원가입 방법 (10) | 2023.10.11 |
---|---|
이안운동 재활센터(뇌졸중,척수손상,신경계 질환) (52) | 2023.10.10 |
장애인 1:1 맞춤형 운동 서비스 [10월 신청] (71) | 2023.10.06 |
산업체 물리치료사란 무엇일까?(기업체,산업체,대기업 부속의원) (27) | 2023.10.04 |
물리치료사는 어떤 직업일까?(되는 법, 근무 환경, 업무 강도, 직업 만족도) (4) | 2022.12.19 |